본문 바로가기

Safety Upgrader(산업안전보건)

도급사업 안전보건관리 Part_적격수급인 선정편(이렇게만 하면 완벽 그잡채!) 적격수급업체평가란 무엇일까? 필자는 제조업 사업장 안전관리자로써 수백개의 수급업체를 관리하면서,도대체 2020년 1월부터 시행된 산업안전보건법 제61조(적격 수급인 선정 의무) "사업주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조치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업주에게 도급하여야 한다."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4조제9호에 따른 적격수급인 선정을 실행하기 위한 평가를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오리무중 상태에서 대상업체, 기준, 로드맵 등을 Deep 하게 파고들어 관리 프로세스를 구축 해 냈습니다.  그렇다면 먼저 도급 / 도급인 / 수급인 / 관계수급인 / 건설공사발주자 지위 / 적격수급업체평가에 대한 용어정의가 어떻게 될까? 도급 : 명칭에 관계없이 물건의 제조・건설・수리 또는 서비스의 제공, 그 밖의 업무를 타.. 더보기
2024년 달라지는 산업안전보건법(이것만 알면 된다고? 각종 실무 자료 작성 뚝딱!) 2024년 달라지는 산업안전보건법2024년 새해가 밝았습니다^^금년도 산업안전보건법(법규) 변경사항과 관련하여 종사하시는 모든 분들께 건강과 행운이 가득하시길 진심으로기원하겠습니다.  필자는 제조업 현직 안전관리자로서 평소 수시로 법규 입법예고, 제/개정 등의 동향을 주의 깊게 주시하고 있습니다.역시 2024년이 되면서 새롭게 변경되는 법규를 찾아봤지만, 간단명료하게 정리되어 있는 포스팅을 찾기 힘들어이렇게 제가 주요 사항만 직접 작성해 보았습니다. 실무진들께서 위원회 회의자료, 안전 Letter, 공지사항 등 작성에  많은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 밖에 추가로 알려주실 변경된 산업안전보건법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소통에 큰 힘이 될 것 같습니다. No, 구분개정 전개정 후 비 고1*안전보건조정.. 더보기
고소작업의 정의 / 2m가 불변의 기준일까? 고소작업의 정의 / 2m가 불변의 기준일까? 필자는 사업장 안전관리자로써 현장 안전작업허가를 진행할 때와 관련된 PSM/ISO45001 절차서를 Review 하면서 고소작업의 정의, 높이 기준(2m?)에 대한 질문쇄도와 피 튀기는 토의가 이루어지는 상황을 많이 경험했다.  그렇다면 고소작업이 왜 2m이상으로 규정되었던 걸까? 사람의 머리의 강도는 1300J 이라고 한다. 그래서 사람이 어떤 위치에서 추락하는 경우 충격량이 1300J 이하로 나와야만 머리가 깨지지 않는다따라서 충격량 계산법을 사용해 계산을 하여 역으로 높이를 산출해 보면,                                                                  1300J = mgh(m=중량, g=중력가속도, h=.. 더보기